국립부경대학교 | 정보융합대학 자유전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전공소개

컴퓨터공학은 정보화 사회의 핵심인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각 분야에 응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컴퓨터공학과에는 최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 및 실습 강의가 개설되어있으며 실무지식을 위한 다양한 실습 기자재를 갖추고 있다. 컴퓨터공학과는 4차 산업 혁명을 실현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선진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 연구 성과

다양한 사물에 정보통신의 기능을 부여하고 이를 활용하는 IoT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IoT 장치들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데 특히 통신방법, 수행기능에 따라 폭넓은 스팩트럼을 가진다. 컴퓨터공학과에서는 IoT 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방법(전력선 통신, WI-FI, ZigBee, 블루투스, 5G 등)과 RFID같은 단순한 장치에서부터 메모리와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복잡한 장치를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Smart-Grid, 해양선박, Healthcare등에 적용 하고 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정보 수집 기기를 통한 정보 생성으로 다양한 Big data가 생성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비정형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컴퓨터보안 및 인공지능 연구실에서는 인공지능에 바탕을 둔 컴퓨터 응용보안과 Big data에 기반을 둔 예측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컴퓨터 비전 기술을 통해 다양한 촬영 기기에서 특정 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물체 검출 서버를 개발하고 있다.
우리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보를 취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정보를 표현한다. 컴퓨터공학과에서는 현실 세계의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갖는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우리가 볼 수 있는 그대로의 고품질 영상을 획득/ 처리/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보안 카메라 등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용한 정보를 자동으로 얻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교육목표 및 인재상

01 교육목표

 

- 융합적 사고와 정보기술능력을 겸비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양성

02 인재상

 

▶ 소프트웨어 전문인

네트워크 관리/프로그래밍 능력

네트워크의 구조,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전문인 양성



웹 엔지니어링 능력

웹서버를 구축, 운영하고 서버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설계/개발/유지보수하는 능력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능력

클라이언트(모바일, PC)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설계/구현하는 능력

▶ 인공지능 전문인

데이터 분석 능력

각종 통계 프로그램과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인공지능 엔지니어링 능력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분류/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설계/구현하는 능력

▶ 하드웨어 전문인

컴퓨터 시스템 설계능력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구성과 동작방식을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구축하는 능력

IoT 시스템 설계능력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기기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 설계/구축하는 능력


 졸업 후 진로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웹엔지니어, 컴퓨터시스템 설계분석가,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데이터 베이스개발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기술지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임베디드전문가, 가상형실전문가, 증강형실전 문가, 컴퓨터하드웨어기술자, 컴퓨터시스템설계분석가, 컴퓨터 시스템감리전문가, 컴퓨터보안전문가, 정보시스템운영자, 정보 통신컨설턴트, 웹디자이너, 웹프로그래머, 웹마스터, 웹엔지니어, 애니메이터, 네트워크프로그래머, 게임프로그래머, 컴퓨터 강사, 변리사 등 다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취득자격증

국가자격 : 전자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 전자계산기기사, 반도체설계기사, 반도체설계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게임기획전문가

민간자격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분석전문가, 데이터분석준전문가, 데이터아키텍처전문가(DAP)

해외자격 : MCSE, CCNA, OCP, SCNA, SCJP, CISA, CISSP 등